이민자의 슬기로운 호주생활 이야기 287

듀플렉스 투자 A to Z: 수익성과 전망 완벽 분석

최근 시드니 부동산 시장에서 단독주택 가격이 급등하면서, 투자자들과 실수요자들이 새로운 대안을 찾고 있습니다.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유형이 바로 듀플렉스(Duplex) 입니다.듀플렉스는 한 필지에 두 개의 독립적인 주거 공간을 갖춘 형태로, 한 유닛에 거주하면서 나머지를 임대하거나, 두 유닛을 모두 임대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그렇다면, 듀플렉스가 왜 인기일까요? 그리고 성공적인 듀플렉스 투자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일까요?1. 듀플렉스가 뜨는 이유📍 시드니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급성장최근 몇 년간 시드니 서부 및 남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듀플렉스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. 이는 신규 교통망 확충과 도시 개발 계획이 맞물리면서 인구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..

재미로 보는 호주내 한국 이민자 숫자 및 어디에 가장 많이 살까?

호주 내 한국 이민자 거주 비율 (%)뉴사우스웨일스(NSW): 약 52%퀸즐랜드(QLD): 약 19%빅토리아(VIC): 약 14%서호주(WA): 약 6%남호주(SA): 약 5%호주수도준주(ACT): 약 2.5%타즈매니아(TAS): 약 1% 미만노던준주(NT): 약 0.5% 미만도시별 주요 분포시드니(뉴사우스웨일스): 전체 한국 이민자의 50% 이상 거주브리즈번(퀸즐랜드): 약 15%멜버른(빅토리아): 약 12%퍼스(서호주): 약 5%애들레이드(남호주): 약 4%호주 내 한인 커뮤니티는 주로 시드니, 브리즈번, 멜버른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, 이 세 도시에서 전체 한국 이민자의 약 **77%**가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.

호주에서 벌금을 받았다면? 대처 방법과 미납 시 발생할 수 있는 결과들

호주에서 생활하다 보면 교통 위반, 주차 위반, 대중교통 무임승차 등 다양한 이유로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영어로는 infringement notice라고 하는데요.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며, 벌금을 무시할 경우 어떤 결과가 초래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벌금을 받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벌금 내용 확인: 벌금 고지서에 기재된 위반 사항, 금액, 납부 기한 등을 정확히 확인하세요.납부 또는 이의 제기: 납부 기한 내에 벌금을 납부하거나, 위반 사항에 이의가 있을 경우 해당 기관에 재심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. 이의 제기를 고려한다면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.벌금을 무시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?벌금을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추가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으며, 미납 상태가 지..

브리즈번 대중교통, 이제 신용카드로 간편하게 이용하세요! Smart ticketing 도입

브리즈번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필수였던 Go Card! 하지만 이제는 신용카드, 직불카드, 그리고 모바일 결제 서비스(Apple Pay, Google Pay 등)로도 버스, 기차, 페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번거롭게 Go Card를 충전하지 않아도, 바로 카드나 스마트폰을 태그(tag on/off)하면 되는 시스템이 도입된 것입니다.이는 Smart Ticketing 이라고 불리우는데요.어떤 결제수단이 가능할까?현재 브리즈번을 포함한 퀸즐랜드 대중교통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제수단이 가능합니다:기존 Go Card (충전 방식)Visa 또는 Mastercard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American Express 카드스마트폰 및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Apple Pay, Google Pay, Samsung Pay..

2023/24 호주 영주권 발급 현황: 직업군, 국적, 신청 장소를 중심으로 분석

지난 2023/24 회계연도에 호주에서 발급된 영주권에 대한 공식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. 약 19만 명이 호주 영주권을 받았으며, 어떤 직업군과 국가에서 영주권을 많이 받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직업별, 신청자 출신국가별 영주권 발급 현황을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.2023/24 회계 연도, 영주권 발급 현황호주 영주권 발급은 매년 7월 1일에 시작해 다음 해 6월 30일에 마감됩니다. 2023/24 회계 연도에는 총 19만 개의 영주권이 발급되었습니다. 10년 전인 2013/14 회계 연도에도 동일한 수치였지만, 2018/19 회계 연도부터 줄어들기 시작해 팬데믹 기간에는 약 14만 개 수준으로 낮아졌습니다. 이후 2022/23 회계 연도에 19만 5천 개로..